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전체 글

“바리스타 시험을 준비했지만, 내가 진짜 준비한 건 내 마음의 컨트롤이었다” 바리스타 시험을 앞두고마지막 실전 연습에 들어갔다. T1, T1-2, 그리고 T2.총 세 번의 추출.T2에선 라떼 하트까지.처음엔 저울도 사용했지만,실전 연습이라 그런지그다음부턴 저울 없이 눈대중으로 추출했다. 그런데…문제는 바로 그거였다.± 몇 g만 넘으면 실격.어느 순간부터 커피의 향과 맛이 아닌무게와 시간의 싸움이 되어버렸다. 게다가 중간중간신경 써야 할 감점 요소는 왜 이렇게 많은지…컵 방향, 기울기, 손동작, 눈길 하나까지.하나하나가 작은 실수로 감점이 되고,감점이 누적되면‘실격’이라는 두 글자가 머릿속을 맴돌았다. “일단 실격만 면하자…”그 생각 하나에온 정신을 다 쏟았다.감정은 뒷전이었다.내가 커피를 어떻게 느끼든,이 순간은 기준을 맞추는 게임이었다. 그러면서도,머릿속 한켠에 이런 생각이 스.. 더보기
하트를 그리고 싶었는데, 감점을 피하는 법만 배웠다 처음 라떼 아트를 배웠던 날,선생님이 말했다.“하트부터 연습해 볼게요.” 물로만 하트 그리는 연습을 했다.컵에 담긴 물을마치 우유인 것처럼 붓고하트를 그려보라는 말이었다. 우유로 하지 않았지만그래도 신났다.잔을 기울이고, 물을 붓고,이리저리 해보다가그냥… 바닥에 철철 쏟아버렸다. 아무리 해도물이 멋대로 흘렀다. 하지만 그게 이상하게도 재밌었다.‘내 손은 고장 난 건가?’ 하면서도어딘가… 예술놀이 같았달까.그냥 물이니까, 부담이 없어서였는지도. 그리고 다음 주,진짜 우유로 연습하는 날.그때야 알았다.물이랑 우유는 완전히 다르다는 걸. 우유는 점성이 있었다.부드러운데 무거웠고,한 방울씩 떨어지는 느낌도 달랐다. 스팀을 잡고,공기를 주입하고,온도를 맞추고…그러다 보면 거품이 생기고,또 너무 많이 생기기도 하고.. 더보기
낯설었던 커피머신, 그리고 블렌딩이라는 가능성 자격증 공부하러 가보니깐!!!커피머신은 있었다. 카페 가서 보던 그 기계였다. 무엇을 먼저 눌러야 하는지,도대체 왜 스팀이 저렇게 시끄럽게 나오는 건지.그 모든 게 낯설고, 솔직히 말해 좀 무서웠다. 그중 가장 당황했던 건,포타필터.원두를 담고, 머신에 장착하는 그 도구.보기보다 훨씬 무거웠다.그걸 장착할 땐 진짜 힘으로 돌려 끼워야 했고,커피를 내리고 나면딱딱하게 눌린 커피 찌꺼기가 남아 있었다. 그게 너무… 생소했다.핸드드립만 해오던 나로선기계에 힘을 주는 감각조차 익숙하지 않았으니까. 그래도,조금씩 적응해 갔다. 그날그날 커피를 내리고, 맛보고,스스로 말해봤다.“이건… 그냥 내가 평소에 마시던 그 아메리카노 맛이네.”사실 그게 문제였다.나는 핸드드립을 즐긴 후부터는‘머신 커피 = 맛없다’는 고정관념.. 더보기
좋아하는 것만으론 부족하다는 걸 깨달은 날 커피를 정말 많이 마셨다.거의 매일같이,그것도 대부분 핸드드립으로.내 손으로 천천히 물을 붓고,향이 퍼지는 걸 느끼며,커피와 나 사이의 시간을 만들어왔다. 가끔은 모카포트도 썼다.에스프레소 머신이 없으니까,그게 내가 경험할 수 있는 진한 커피의 유일한 방식이었다. 그런데 문득,질문이 하나 떠올랐다. “사람들은 왜 대부분 아메리카노만 마실까?” 내가 마시는 방식이,이렇게 다양한데도세상은 왜 ‘머신 커피’만 당연하게 여기고 있을까? 나도 한때는아무 생각 없이,그저 일상처럼 커피 머신에서 나오는 아메리카노를 마셨던 사람이었다. 그건 혹시그들도 나처럼 ‘그게 전부’라고무의식적으로 받아들인 건 아닐까? 그걸 알기 위해선,직접 해보는 수밖에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커피의 맛과 향,취향에 대해선 꽤 많이 말.. 더보기
모카포트에서 시작된 커피의 또 다른 얼굴 [나누고 싶다는 마음, 그리고 더 알고 싶다는 욕심] 메모장 속 커피 기록이 쌓일수록이걸 누군가와 나누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향을 적고, 맛을 적고,그날의 기분까지 함께 남긴 기록들을그냥 나 혼자 보기엔조금… 아깝다고 느껴졌다. 내가 좋았던 그 향,그게 누군가에게도 위로가 될 수 있다면.그런 상상이 자꾸만 마음속에 자라났다. 그리고,그 무렵 모카포트를 처음 알게 됐다. 에스프레소 머신을 사기엔 부담스러웠고그 대신, 작은 주전자 같은 그 기구로작은 진한 커피를 직접 내려보았다. ‘에스프레소는 쓰기만 하다’고 생각했는데,모카포트로 내려 마신 커피에서는원두만의 또 다른 면이 보였다. 조금은 조심스럽고,조금은 강렬하게.그러면서도 그 안에 숨은 단맛, 묵직함, 향의 깊이. ‘같은 원두인데도,이렇게 다르게 표현.. 더보기
난 커피의 향을 따라, 나를 찾기 시작했다 처음엔 그냥,원두를 샀고,향을 맡았고,한 모금 마셨다. '음… 이건 상큼하다.이건 쌉싸름하네…이건 좀… 묵직한데?' 그렇게 아무 생각 없이 느끼는 대로조금씩, 아주 조금씩커피의 세계를 들여다보기 시작했다. 그러다‘에티오피아 시다모 내추럴 G1’을 마셨다.커피에서 과일향이 날 수 있다는 걸,이 원두가 처음 알려줬다.첫 향은 마치 잘 익은 복숭아 같았고입 안에서는 자두 같은 달콤한 과즙이 퍼졌다.마신 뒤에도 한동안 향이 남아 있어서,코끝을 맴도는 그 감각에 멍하니 머물렀다. 그 순간,폰 메모장을 열었다. “에티오피아 시다모 내추럴 G1 – 잘 익은 복숭아, 자두, 꽃향기 / 단맛 선명 / 입 안 가득 부드러운 산미” 처음 저장한 커피 노트였다. 그렇게내 손끝에서나만의 커피 기록이 시작됐다. 누가 보라고.. 더보기
“어느 순간, 커피는 맛이 아니라 향이었다” 게이샤는 그냥 일반 커피와는 전혀 달랐다.적당하며 다양한 산미,부드러운 바디,마지막에 남는 단 향기까지.“게이샤는… 게이샤구나.”그 말을 이해하게 됐다.그때부터였다.게이샤뿐만 아니라다양한 원두들을 찾아다니기 시작했다. 향이 뚜렷한 원두,과일향, 초콜릿향,복합적이고 강렬한 개성을 가진 커피들.그리고어느 순간 알게 됐다.우리가 커피를 마시며 느끼는 건 ‘맛’보다 ‘향’이라는 걸. 입 안에 머무는 느낌,목 뒤로 넘어가며 남는 여운은...나의 기분을 위로하거나, 기분을 끌어올린다.그건 마치커피 한 잔을 마신 게 아니라나의 감정 하나를 끌어안는 느낌이었다.또 하나.누군가 말해줬다. “내리는 사람에 따라 커피는 완전히 달라져요.” 그 말 이후,나는 여러 브루잉 레시피를 따라 해 보기 시작했다.챔피언 바리스타들의.. 더보기
게이샤, 커피로 감동을 느낀 건 처음이었다... 이름부터어딘가 특별했다.게이샤.그동안 마셔본 커피들과는소리부터 결이 달랐다.무게가 느껴졌다.향이 아니고,기대가 먼저 피어올랐다. 처음엔 몰랐다.처음 내려 마신 게이샤는너무 시큼했다.입 안에 감돌던 그 산미가내가 알고 있던 커피의 맛과는너무 달라서 당황스러웠다. “이게 고급 커피야…?”속으로 생각했다.내가 뭔가 잘못했나?아니면,그냥 내 입맛에 안 맞는 건가? 그래서 다시시간을 들여배웠다.내렸다.기다렸다.그리고 어느 순간,그 커피가 달라졌다. 산미는 부드러웠고,입 안에는 향이 맴돌았다. 베르가못.달고나.꽃 같은 무언가.쓴맛도 없고,단맛도 아니고,그저 입 안에 아름다움이 머무는 느낌. 나는 그날,커피에서 감동이라는 감정을 처음 알았다. 그 뒤로다양한 원두들을 마셔봤다.좋은 커피.. 더보기

728x90
반응형
LIST